템바 보드를 이용한 가구, 이미지월 꾸미기
공간에 포인트로 템바 보드 활용하기!
템바 보드를 루버나 각재 시공으로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많다.
얼핏 보면 그렇게 보이나
자세히 보면 모양이 여러 가지인
템바 보드 시공인 걸 알 수 있을 것이다.
반달 모양에서부터
삼각, 사각, 민자, 리브, 다이아, 웨이브 등 다양하다.
특히 요즘엔 주거용으로,
안방을 호텔룸처럼 침대 양옆 라인을
뒷 침실 헤드보드까지 연결시켜 포인트를 주고
그 포인트 벽체에 벽부등을
설치하는 식으로 많이들 활용한다.
한동안은 잘 쓰지 않던 마감재였는데
다시금 뜨고 있는 추세이다.
오늘은 템바 보드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템바보드의 종류
반달
6T x 간격 15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9T x 간격 20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필름 or 무늬목
9T x 간격 25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필름 or 무늬목
12T x 간격 35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필름 or 무늬목
15T x 간격 50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필름 or 무늬목
삼각
6T x 간격 15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9T x 간격 20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필름 or 무늬목
12T x 간격 25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필름 or 무늬목
15T x 간격 50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필름 or 무늬목
사각
12T x 간격 20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필름 or 무늬목
민자
3T x 간격 15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무늬목
3T x 간격 20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무늬목
4.5T x 간격 25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무늬목
웨이브
9T x (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필름
12T x (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필름
18T x (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필름
리브 보드
15T x 간격 40mm(4*8 제작)_ MDF 백골 상태 or 필름
R보드
R35 : 12T x 35 mm x 35mm_ MDF 백골 상태
R50 : 15T x 50mm x 50mm_ MDF 백골 상태
600x600 8장 (4*8 제작)
R100 : 18T x 100mm x 100mm_ MDF 백골 상태
T보드
R50 : 15T x 50mm x 50mm_ MDF 백골 상태 or 필름
600x600 8장 (4*8 제작)
다이아 보드
1각 100mm x 38mm
9T (4*8 제작)
갤러리
6T *4*8 제작 (간격 30mm)
사각 리브
9T*4*8 제작 (간격 40mm)
9T*4*8 제작 (간격 30mm)
주문형 제작 가능
보통 템바 보드는 MDF의 백골 형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취향에 맞게 도장을 하거나
필름, 무늬목을 붙인 형태로 주문할 수 있다.
요새는 벽체뿐만 아니라 가구,
특히 아일랜드 형태 하부장이나
바 테이블 등에서도 많이 설치한다.
템바 보드의 가장 큰 장점이
롤 형식으로 나와 라운드 형태의 벽체나
가구에도 시공이 간편하다는 점이다.
셀프 시공도 가능해서
원하는 크기로 재단 주문하면
누구나 쉽게 시공할 수 있다.
집 인테리어의 변화를 주고 싶다면
템바 보드로 톤, 모양이 변화를 줘서 시공하거나
기존 가구에 붙여 공간에 포인트로 사용해 보자!
타공패턴을 적용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홀리패널에 대해서...
기존 외장재에 타공패턴을 적용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홀리패널에 대해서... 홀리패널(Holey PANEL)이란 기존의 외장재에 타공패턴을 적용하여 빛 투과성은 물론 기존 건물에 밋밋함을 없애고
heng000.com
기업의 인포/ 안내데스크, 이미지월 디자인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
인포데스크/ 안내데스크, 이미지월 디자인 기업의 얼굴이고 방문객들의 첫 대면하는 공간인 1층 로비는 참 중요한 공간이다. 그래서 그런지 그 공간안의 요소 인 안내데스크, 이미지월 디자인은
heng000.com
어쿠스틱 판넬(흡음판넬)에 대해서 알아보자!
어쿠스틱 패널(흡음판넬)에 대해서 알아보자! 목재 다공질 분산음향판 (다공질 분산흡음재) 벽과 천장을 마감하는 최고급 흡음자재 미려한 목재 디자인과 뛰어난 흡음률로 최고의 음향 환경을
heng000.com
'interi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린월, 에코디자인에 대해서... (0) | 2020.06.30 |
---|---|
[도끼다시]라 부르고 테라조라 쓴다. (0) | 2020.06.27 |
인테리어 마감재 용어 정리 (0) | 2020.06.12 |
퓨전 다다미방 인테리어 (Feat. 스텝업 플로어링) (0) | 2020.06.08 |
썬 스크린 활용법 [ feat. 우드블라인드,롤스크린,버티컬 등 ] (0) | 2020.05.29 |
S.G.P 칸막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0.05.28 |
강화도어의 종류 (0) | 2020.05.25 |
천정재에 대해서... [석고텍스, 마이텍스, 마이톤] (0) | 2020.05.22 |
댓글